지난글에서 '네이버 검색 알고리즘'을 알아보았습니다. 포스팅의 대략적인 방향성을 알 수 있었지요.
'네이버 검색 알고리즘'을 알아보자
저도 블로그를 시작하고, 검색엔진최적화(seo)라는 것을 알게되었어요.그러다보니 잘 알지도 못하면서 검색엔진에 블로그 등록도 해보고,검색엔진들이 원하는 글을 쓰려고 여러 전문가분들이
helpmemrjang.tistory.com
이번 글에서는 검색엔진최적화(seo)를 위해 '구글 검색 알고리즘'이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알아봅니다.
어떤 관점에서 더 노력하여 글을 써야하는지를 어느정도는 이해하실 수 있을 것이에요!
구글 검색 알고리즘의 핵심 기술 |
구글은 '검색 알고리즘'과 'EAT 알고리즘'이 있습니다.
'EAT 알고리즘' 은 사이트 품질관련 알고리즘입니다.
우선 '검색 알고리즘' 입니다.
|
구글의 검색알고리즘의 특성은 '크롤링'입니다. 사이트를 모두 긁어와 그 안에서 내용 구조등을 분석하여 순위를 매깁니다.
읽다보면 신경쓰이는 부분은 순위를 매긴다는 '순위화' 부분이죠
이 '순위화'라는 부분을 좀 더 자세하게 알아봅시다.
|
'의도, 관련성, 품질, 유용성, 상황'이 기준인 것으로 보아
이 '순위화' 부분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할 부분인것 같네요.
여기 3번째 콘텐츠 품질부분을 보시면 'E-A-T 알고리즘'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.
이 알고리즘은 검색 알고리즘 안에 포함된 알고리즘이였네요
'E-A-T 알고리즘' 에 대하여 알아봅시다.
Expertise(전문성), Authoritativeness(권위성), Trustworthiness(신뢰성)의 약자
|
'E-A-T 알고리즘' 은 '전문적 지식과 경험, 인증된 출처, 믿을 수 있는 정보' 인지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입니다.
구글 검색엔진의 알고리즘은 네이버 검색 엔진의 알고리즘 보다 훨씬 더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기준이 세워져있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. 요약하면 아래와 같이 정리가 가능합니다.
사이트를 크롤링하여 구조적으로 정리 (글을 쓰고 수정하면 안되는 이유라고 보여짐) 검색자의 키워드 목적에 맞는 글을 연결해줌 (의도를 파악하는데 위치정보와 전 검색기록 등이 사용됨) 키워드에 맞는 정확한 글을 작성하는 것이 필요 전문적 지식과 경험, 인증된 출처, 믿을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여 작성 |
지금까지 두개의 포스팅으로 네이버와 구글의 검색엔진에 대해 살펴봤습니다.
공통점으로는
네이버와 구글 모두 '키워드' 를 중심으로 정확하고 신뢰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
에 초점이 되어있습니다.
글을 정리하면서 저도 많이 배웠네요.
간간히 변화된 트렌트에 따라서 글을 업데이트하겠습니다. 코멘트 환영합니당!
'블로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글 "검색엔진 누락" 드디어 해결(저품질 문제x) (0) | 2024.05.19 |
---|---|
'네이버 검색 알고리즘'을 알아보자 (0) | 2024.05.16 |
'무료 이미지 사이트' 5개 추천합니다. (0) | 2024.05.15 |
블로그의 적절한 글자수, 이미지수, 영상수는? (2) | 2024.05.15 |
블로그 이름 짓기 방법을 공유합니다.(2022.ver) (7) | 2020.12.09 |